The founder and chairman of Board of Directors of Kakao Corp., Kim Beom-soo, hinted that he would come to the forefront of management in Daum Kakao. It is taken to mean that the company will accelerate its effort to catch up with Naver with the quick decision-making of the owner, not the Board of Directors.

According to industry insiders on August 12, Mr. Kim Beom-soo recently met key executives of Daum and Kakao, and clearly opposed to the BOD-oriented decision-making structure of Daum.

“In the cut-throat business competition, we cannot make decisions quickly with the BOD-centered decision-making structure,” said Mr. Kim. “We need the owner-centered decision-making structure to make bold decisions.” It means that he would exercise influence on management as the largest shareholder of Daum Kakao and de-facto owner, and implies that he will come to the front of management.

“Naver is No. 1, and Daum is No. 2. If we are on the same lane, how can we beat Naver?” chairman Kim emphasized. “Daum Kakao must change lanes.” He reiterated his will to catch up with Naver by switching to the owner-centered quick decision-making system.

Over the years, the industry has loudly claimed that Daum became a ‘permanent No. 2’ because of its slow decision-making process. The BOD-centered decision-making system is horizontal and allows diverse opinions to be voiced, but revealed weakness in ‘speed,’ the core competitiveness of the IT industry. Horizontal decision-making is not conducive to doing business with leadership. As decisions are made jointly and responsibility is taken collectively, it is difficult to make bold decisions. Daum has launched several cutting-edge services like ‘MyPeople.’ The portal provided ideas for such services, but they have not been successful in the market.

As Mr. Kim hinted that he would take an active part in the management of Daum Kakao, the company is forecast to solve the ‘ownership absence risk,’ which has plagued Daum for a long time. Since Lee Jae-woong, founder of Daum, left the company, there has been no one who could exercise powerful ownership. Professional managers, who must always pay attention to the bottom line, put more emphasis on management than on bold investment. It is pointed out that Choi Se-hoon, the current CEO of Daum, succeeded in increasing its stock price, but failed to reinforce service competitiveness for this reason.

People who will help Kim Beom-soo exercise his powerful ownership are joining Kakao one after another. Recently John Park, CEO of ‘Asia Evolution,’ who gained experience at Goldman Sachs, was appointed as head of the Management Support Team.

However, it is unknown whether Kim Beom-soo will take the helm of Daum Kakao. Nevertheless, the industry seems to be positively rating Mr. Kim’s will to exercise powerful ownership. “There are great expectations in the market for the merger between Daum and Kakao, but the reality is that the combined company falls far short of Naver,” said an industry insider. “It is right that Mr. Kim should exercise unwavering leadership in hot pursuit of the No. 1 portal.”

Jeong Jin-wook | jjwinwin@etnews.com

김범수 의장 다음카카오 경영 전면에

<김범수 카카오 의장.>

김범수 카카오 의장이 합병 법인 다음카카오의 경영 전면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이사회가 아닌 오너 중심의 빠른 의사결정으로 네이버 추격에 가속도를 내겠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다음과 카카오 주요 임원을 만난 김범수 의장은 다음의 이사회 중심 의사결정 구조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의장은 이 자리에서 “치열한 비즈니스 경쟁 환경에서 이사회 중심 의사결정 구조로는 빠른 결정을 내릴 수 없다”며 “과감한 결정을 위한 오너 중심의 의사결정 구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합병 다음카카오의 최대 주주이자 실질적 오너로서 경영에 직접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뜻으로 사실상 경영 전면에 나설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김 의장은 “네이버가 1등이고, 다음이 2등인데 같은 차선으로 달리면 어떻게 네이버를 이길 수 있느냐”며 “새 합병 법인은 차선을 갈아타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너 중심의 신속한 의사결정으로 네이버를 따라잡겠다는 의지를 재차 밝힌 것으로 해석됐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다음이 ‘만년 2등’으로 전락한 이유로 느린 의사결정 구조를 꼽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사회 중심 의사결정은 수평적이고 다양한 의견 수렴이 가능하지만 IT업계 핵심 경쟁력인 ‘속도’에서 약점을 드러냈다. 수평적인 의사결정은 리더십을 갖고 사업을 진행하기 어렵다. 함께 결정하고 함께 책임지는 구조다 보니 과감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힘들다는 것이다. 다음은 ‘마이피플’ 등 선도적인 서비스를 내놓고 아이디어만 제공한 채 시장에서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서비스가 여럿이다.

김 의장이 합병 다음카카오에서 경영 전반에 적극 나설 것임을 시사하면서 오랜 시간 다음을 괴롭혀온 ‘오너십 부재 리스크’도 해소될 전망이다. 이재웅 다음 창업자가 회사를 떠난 이후로 강력한 오너십을 행사할 인물이 없었다. 실적을 챙겨야 하는 전문경영인은 과감한 투자보다 관리에 방점을 뒀다. 재무 출신 최세훈 현 다음 대표가 주가 부양에는 성공했지만 서비스 경쟁력 강화에는 실패한 것도 이 때문이란 지적이다.

김 의장의 강력한 오너십 행사를 도울 인재도 속속 카카오에 합류하고 있다. 최근에는 골드만삭스에서 경험을 쌓은 ‘아시아 에볼루션’의 존박 대표가 경영지원실장을 맡았다.

하지만 김 의장이 직접 대표직을 맡을지는 미지수다. 그럼에도 업계는 김 의장의 강력한 오너십 행사 의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한 업계 관계자는 “다음과 카카오 합병이 시장 기대를 모으지만 두 회사를 합쳐도 네이버에 한참 못 미치는 것이 현실”이라며 “빠르게 1위를 추격하기 위해 김 의장이 흔들리지 않는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맞다”고 평가했다.

정진욱기자 | jjwinwin@etnews.com

Photo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