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the game industry is very important to culture and economic development, we will promote it with tax benefits.” - Sajid Javid, UK Secretary of State for Culture, Media and Sport -

#“As Korean game companies continuously develop innovative technologies and try new businesses, they will bring important know-how to Berlin.” - Michael Liebe, Founder, International Games Week Berlin -

Korean game companies continue to receive attention from various countries in Europe. Experts warned that the positive aspect is local companies’ entry into global markets, but the other side of the coin is the drain of high-caliber manpower and technical know-how.

At the presentation for inviting game companies to Berlin-Brandenburg, held in G-STAR, Busan last weekend, more than 100 Korean developers were present.

“We prepared 80 seats, far more than we originally planned (50 seats), but far more companies than expected came to the presentation,” said one of the organizers. “Only about 100 companies were allowed in, and the rest were turned away.”

The federal state of Berlin and Brandenburg introduced domestic game companies to various tax benefits and investment benefits given to them if they relocated to Berlin and Brandenburg.

The UK held a networking party at G-STAR on November 20 and 21. An official from ‘Tech City,’ regarded as the Silicon Valley of the UK, gave a presentation on entry into the UK market and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Sajid Javid, UK Secretary of State for Culture, Media and Sport, attended the opening ceremony of G-STAR and offered help.

Domestic game companies are responding differently to these European overtures. The CEO of a startup game company said, “It is quite positive in that we can avoid the domestic regulatory environment, and establish a foothold in our endeavor to make inroads into the European market.”

“Actually relocation has many difficulties in realistic terms,” said an official from a leading game company “It will not be very advantageous to companies based in the domestic market.”

Some pointed out that the European temptation of domestic game companies could have greater repercussions than ‘Korean developers’ exodus to China’ in 2000.

In the 2000’s when its game industry was in its embryonic stage, China developed its competitiveness by absorbing a great number of Korean game developers. During this period, it is known that developers with abundant experience with servers and clients left leading game companies in Korea to work in China.

“In the past many developers went to China because of restructuring or wages,” said an insider of a game company. “Europe is better than China in terms of regional preference, and it is not individual developers, but corporations that they want. In this respect, once there is a good example of successful relocation, many companies are highly likely to follow suit.”

Having the headquarter functions, such as management, or the core development organization in Europe, and operating the studio in Korea is one of the possible scenarios.

“The fact that Korean game companies are hotly sought after proves that they are very competitive,” said Kim Jeong-tae (professor of Dongyang University, president of the Game Developers Association. “The poor treatment of the game industry in Korea tends to trigger this phenomenon.”

He added, “The government, universities and the industry must consider the matter from various angles to create a virtuous circle for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y in Korea.”

Kim Si-so | siso@etnews.com

한국 게임산업 향한 유럽 `러브콜` 쇄도…인력?기술 유출 우려도

#“게임산업은 문화와 경제발전 두 축에 매우 중요해 세제혜택 등으로 육성하려 한다.” -사지드 자비드 영국 문화미디어체육부 장관-

#“한국 게임회사들은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신규 비즈니스를 계속 시도하기 때문에 베를린 지역에 중요한 노하우를 가져다 줄 것이다.” -미하엘 리베 베를린 국제게임주간 조직위원-

한국 게임사를 향한 유럽 각국의 ‘러브콜’이 쇄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회사의 ‘글로벌 진출’이라는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고급 인력과 기술 노하우 유출이라는 그림자도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지난 주말 부산 지스타에서 열린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연방주 게임 유치 설명회에는 국내 개발사 100여군데가 몰려 문전성시를 이뤘다.

주최 측 관계자는 “당초 지난해(50개)보다 훨씬 늘어난 80개 좌석을 마련했지만 기업이 몰리며 예상을 훨씬 상회했다”며 “100여개 기업까지 참가하고 그 이상은 입장하지 못했을 정도”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베를린 브란텐부르크 연방주는 이 자리에서 국내 게임 기업을 대상으로 이주 시 주어지는 각종 세제, 투자 등 각종 혜택을 소개했다.

영국은 지난 20일과 21일 양일에 걸쳐 지스타에서 네트워킹 파티를 실시했다. 영국 실리콘밸리 격인 ‘테크시티’ 관계자가 영국 시장 진출과 정부 보조정책 등을 발표했다. 사지드 자비드 영국 문화부 장관은 지스타 개막식에 참가하며 자국 지원에 나섰다.

유럽의 이 같은 손짓에 국내 게임사들의 반응은 제각각이다. 한 스타트업 게임사 대표는 “국내 규제환경을 피하고 유럽 진출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중견 게임사 관계자는 “실제로 근거지를 옮기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많다”며 “국내 시장을 기반으로 한 회사에는 큰 장점이 없을 것”이라고 의견을 표시했다.

일각에서는 유럽의 국내 게임사 유치전이 2000년 활발하게 이뤄졌던 ‘중국으로의 국내 개발자 이탈’보다 더 큰 파장을 몰고 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중국은 게임산업이 본격적으로 태동하던 2000년대 국내 게임개발자들을 대거 흡수하며 경쟁력을 키웠다. 이 시기 국내 유력 게임사에서 서버, 클라이언트 경험이 풍부한 개발자들이 대거 넘어 간 것으로 알려졌다.

게임사 관계자는 “과거에는 구조조정이나 연봉 등을 이유로 중국으로 넘어가는 개발자가 많았다”며 “유럽은 지역적 선호도 면에서 중국보다 앞서고 개발자 개인이 아닌 기업 유치를 노린다는 점에서 실제 정착 사례가 나오기 시작하면 급격히 바람을 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경영이나 핵심개발 조직 등 헤드쿼터 기능은 유럽에 두고 스튜디오를 한국에서 운영하는 등 진출 가능한 방법이 여러 가지라는 이야기다.

김정태 게임인연대 대표(동양대 교수)는 “유치전이 활발하다는 것은 일단 국내 게임사의 경쟁력이 높다는 증거”라며 “국내에서 게임산업이 푸대접 받는 현실이 이 같은 현상을 부추기는 경향”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업계 경쟁력이 되도록 국내를 기반으로 선순환될 수 있도록 정부와 학계 그리고 업계에서 다각도의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김시소기자 |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