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the flexible display, which bends to the sides, about to be released, Samsung Display is considering adopting tempered glass again as the protection cover.

According to industry insiders, Samsung Display gave serious thought to adopting plastic materials, such as epoxy and polyimide, but it is trying to swerve again to tempered glass due to problems like transmittance.

As the flexible display uses plastics called polyimide for the substrate, it does not break and it allows free designs. Last year a curved flexible display was first commercialized, but it bent just a little. So it failed to differentiate itself. Afterwards, Samsung developed the flexible display that bends to the sides and tries to differentiate designs.

The flexible display itself does not easily break, but as it must be protected from scratches, it must have a cover. Tempered glass was used for the flexible smartphone, which was released last year.

As tempered glass is stronger than ordinary glass, it hardly breaks, but since it is glass after all, it can break, and more than anything else, it has a smaller degree of freedom in design. If the cover is replaced with plastics, it does not break and allows free designs, but gets scratched easily. For this reason, Samsung considered high-hardness plastics and epoxy as alternatives, but the poor transmittance was pointed out.

After all, Samsung Electronics and Samsung Display are inclined towards tempered glass again. They are developing it by using heat to make the design, temper it and make the button groove. This method has many problems, but priority is given to display performance. To make the tempered glass bend to the sides, the design must be made first before tempering. After tempering, the grooves for buttons and speakers must be made, but as the tempered glass easily breaks when holes are made, a high level of technology is necessary. “The flexible display requires that not only the display itself, but also the tempered glass must go through complex processes,” said an industry insider. “Plastics may solve the problems of tempered glass, but I understand that the dominant view is that we cannot give up the performance of the display itself.”

Mun Bo-gyeong | okmun@etnews.com

삼성 플렉시블 스마트폰, 강화유리냐 플라스틱이냐

디스플레이가 측면까지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출시가 임박한 가운데, 삼성이 디스플레이 보호 커버로 강화유리를 다시 채택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에폭시?폴리이미드 등 플라스틱 소재를 채택키로 유력하게 고려했으나 투과율 등의 문제로 최근 다시 강화유리로 선회하려는 움직임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기판을 폴리이미드라는 플라스틱을 사용하기 때문에 깨지지 않고 디자인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지난 해 곡면을 구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처음 상용화됐으나, 살짝 휘어진 정도에 불과해 차별화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이후 삼성은 측면까지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면서 디자인 차별화에 도전하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자체는 잘 깨지지 않지만,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보호해야하기 때문에 커버는 필수다. 지난 해 나온 플렉시블 스마트폰에는 강화유리를 채택했다.

강화유리는 일반 유리보다 튼튼해 잘 깨지지 않지만 결국 유리라는 점 때문에 깨질 수 있고, 무엇보다 디자인 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플라스틱을 커버로 대체하면 깨지지 않고 디자인은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으나 스크래치가 많이 생기는 흠이 있다. 이 때문에 삼성이 고경도 플라스틱과 에폭시까지 대안으로 검토했으나 투과율을 떨어뜨리는 점이 대두됐다.

결국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는 강화유리를 다시 채택하는 쪽으로 기운 상태다. 열로 디자인을 만들고 강화한 후 버튼 홈 등을 가공하는 방식으로 개발 중이다. 이 방식 역시 문제들이 많지만 디스플레이 성능을 우선시하려는 것이다. 강화유리를 측면까지 휘게 하기 위해서는 강화 전에 먼저 디자인을 만들어야 한다. 강화 후 버튼과 스피커 등을 위한 홈을 만들어야 하는데 구멍을 뚫을때 쉽게 깨지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업계 관계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자체는 물론 강화유리도 복잡한 공정을 거친다”며 “플라스틱은 강화유리의 문제점들을 없앨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자체 성능을 포기할 수 없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