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 the limited quantities put on the market face the risk of not selling

As market response to flexible smart phones falls far short of expectations, display makers are completely revising their business strategies. The industry, which believed that the features of this smart phone model to bend and not to be easily broken would attract customers, has moved back to square one to reexamine their R&D and mass-production investment strategies.

According to the industry on the 25th, Korea’s display industry is planning to focus on discovering new sources of demand while implementing flexible display mass-production investment next year as cautiously as possible.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placed limited quantities on the market as a result of issues concerning their internal yield. Their initial plan had been to expand the production capacity by stages.

Samsung Display had originally planned to additionally extend A2 line at the same time as utilizing the line for dual production of general (rigid) and flexible displays exclusively for flexible display production according to demand. As for the new line, A3, the company had examined a plan to preferentially produce flexible display from this line. LG Display also had built a system to increase flexible display production capacity by extending its low-temperature silicon (LTPS) line.

However,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where even the limited quantities of flexible smart phones placed on the market are not selling, the companies pushed aside their additional investment plans.

Samsung Display is equipped with a system to produce 8000 displays a month for the 5.5th generation model (1300mm x 1500mm) and LG Display is capable to produce 12000 displays for the 4.5th generation model (730mm x 920mm) based on the raw substrates put into the production lines. Both companies can make tens of thousands of displays a month even if the yield is less than 50%. This means that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are sufficiently capable to simultaneously promote the second generation flexible display research and the first generation model production.

The unfavorable market response to flexible smart phones also led to turning down the expectations for investment expansion. Accordingly, there are voices criticizing inside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that the sources of demand they found first had been wrong. This means that the source of demand for the second generation flexible display that is lightweight, does not break easily and has a high level of design freedom could be devices other than smart phones. In addition, as it is reported that Apple iWatch mounted with a flexible display will be released next year, attention is drawn to which will be the third application.

“If the problem causing slow sales had been about yield or price, we could have done whatever we could do to improve on these areas. However, the outlook for the future is even more unclear,” said an industry insider. “Flexible display makers are focusing more on discovering new designs or applications in order to find the next-generation bread earner.”

Moon Bo-gyeong | okmun@etnews.com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1라운드 실패…새로운 수요처 발굴해야

한정 수량으로 내놓은 물량조차 안 팔릴 분위기

플렉시블 스마트폰에 대한 시장 반응이 기대 이하로 저조하자 디스플레이 업계가 사업 전략을 전면 수정하는 분위기다. 휘어지고 잘 깨지지 않는다는 점이 매력적인 요소가 될 것이라고 믿었던 업계는 연구개발(R&D)과 양산 투자 전략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는 내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양산 투자를 최대한 신중하게 집행하면서 신규 수요처 발굴에 주력할 계획이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당장 수율 문제로 인해 한정 수량만을 내놓았지만, 단계적으로 생산 능력을 확대할 계획이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당초 일반(리지드)과 플렉시블 겸용 라인을 수요에 따라 플렉시블 전용 라인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A2라인에 추가 증설하는 방안도 갖고 있었다. 신규 라인 A3 역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우선 생산하는 안을 검토했었다. LG디스플레이도 저온폴리실리콘(LTPS) 라인 확장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생산 능력을 늘릴 수 있는 체제를 갖춘 상황이다.

그러나 플렉시블 스마트폰이 한정 수량으로 내놓은 물량조차 팔리지 않을 분위기가 되면서 추가 투자 계획은 밀리게 됐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투입원판 기준 5.5세대(1300㎜×1500㎜) 월 8000장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LG디스플레이는 4.5세대(730㎜×920㎜) 월 1만2000장을 생산할 수 있다. 두 회사 모두 수율이 50% 미만이라고 해도 월 몇만대 정도는 만들 수 있는 수준이다. 2세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연구와 1세대 제품 생산이 동시에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플렉시블 스마트폰에 대한 시장 반응이 냉랭하면서 투자확대에 대한 기대도 일축시켰다. 이에 따라 삼성?LG 내부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첫 수요처를 잘못 찾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가볍고 깨지지 않으며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2세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수요처는 스마트폰이 아닌 다른 기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애플 아이워치가 내년 출시될 것으로 알려져 제 3의 애플리케이션은 무엇이 될지 관심이 집중됐다.

업계 관계자는 “차라리 수율이나 가격 문제 때문에 판매가 저조한 것이라면 이를 개선하는 데 최선을 다하면 되겠지만 향후 진로가 더욱 불투명하다”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먹거리를 찾기 위해 새로운 디자인이나 애플리케이션을 발굴하는 데 더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