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le the expirations of 3D printer patents are drawing near,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large number of companies holding patents had applied for follow-up (improvement) patents. Most of the follow-up patents are improved versions of the original patents with effects of the original patents maintained. Accordingly, Korean companies face the risk of infringing the rights of follow-up patents in the course of product development using original patents.

According to the industry on the 15th, global 3D printer makers have been extensively registering family patents in key countries including Korea. A majority of these patents are those secured through M&A and purchasing and the count has been increasing considerably since 2011. Family patent refers to a patent registered after it was divided into multiple patents or functionally added on with other patents in addition to an instance where a patent applied for in the patentee’s respective country is again applied for in a foreign country. Unlike original patents,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follow-up patents is decided based on the time of registration. Therefore, companies owning original patents use them to block market entry by their competitors. According to survey data from Kwang Gae To Lab, a patent analysis company, of 3D printer patents disclosed in the U.S., as many as 146 family patents have been registered or applied for in Korea since 2001.

Experts are giving a warning that follow-up patents can be used in lawsuit battles. Patents in pharmaceutical fields, such as of Viagra, are relatively freer from the risk of infringement as the concept of follow-up patent is weak. On the other hand, technical patents, such as of 3D printer, can be added on with follow-up patent applications based on performance and functional improvements achieved in the course of additional R&D. In fact, there have been instances where a company holding an original patent raised a suit with its follow-up patent for an open source project after the original patent expired. 3D printing market is not large, and thus litigations are not being raised actively as yet. However, lawsuits are forecast to increase sharply once the market expands and the number of companies generating profits in the market increases.

“There will not be any problems as long as only the original patents are used. However, it is almost impossible to develop products or services using original patents only,” said CEO Gang Min-soo of Kwang Gae To Lab. He warned, “There can be instances where follow-up patents are violated in the course of a product development using original patents.”

To be free from infringement lawsuits, careful patent analysis is essential prior to product development. Patent analysis is a process to check in advance whether or not a technology, a service or a product to be developed is in violation of patents applied for and registered by other companies. Proper patent analysis requires an enormous cost adding up to several tens of millions of won. However, without this process, a company, even if generating income at a later stage, must pay full compensation once it losses a suit.

As most 3D printing companies are new or small and medium-scale companies, and thus are not in a position to readily access overseas market trends, voices are being raised about the necessity of government-level support. “In most cases, patentees apply for patents in the major countries prior to patent litigations,” said an industry insider. “A system to identify such trends of key patent applications and to deliver the information to the industry would be very helpful.”

Kim Joon-bae | joon@etnews.com

소멸 3D 프린터 특허, `후속 특허`가 더 무섭다

3D프린터 특허 소멸시한이 연이어 도래하고 있는 가운데 특허 보유 기업들이 원천 특허를 잇는 후속(개량) 특허를 대거 출원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후속 특허 대부분은 원천 특허 효력을 유지하며 발전한 것으로, 우리 기업이 원천특허를 응용해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 후속 특허를 침해할 수 있는 상황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3D프린터업체들이 우리나라를 포함 주요 국가에 패밀리 특허를 대거 등록해왔다. 여기에는 인수합병(M&A)과 매입 등으로 확보한 특허도 대거 포함되며 2011년 이후 그 수가 크게 늘고 있다. 패밀리 특허는 자국에 출원한 특허를 해외에 출원한 경우도 있지만 원천 특허 하나를 복수 특허로 나누거나 기능적으로 추가해 재등록한 것을 말한다. 후속특허는 원 특허와 달리 등록시점을 기준으로 소멸시효가 정해지기 때문에 원천 특허 보유업체는 경쟁사 진입을 차단하는데 활용한다. 특허 분석업체인 광개토연구소 조사자료를 보면 미국에 공개된 3D 프린터 특허 가운데 2001년 이후 우리나라에 등록되거나 출원한 패밀리 특허는 무려 146건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이들 후속 특허가 그대로 소송전에 활용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비아그라와 같은 제약 분야 특허 경우 후속 특허 개념이 약해 침해에서 자유로운 반면 3D프린터와 같은 기술특허는 추가 R&D 과정에서 더 좋은 성능과 기능 개선을 바탕으로 한 후속특허 출원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원천특허 만료 후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원천 특허 보유기업이 후속특허로 소송을 거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아직까지는 3D프린팅 시장이 크지 않아 소송이 활기를 띠지 않지만 시장이 확대되고 수익이 발생하는 기업이 늘어나면 소송이 급증할 것이란 예상이다.

강민수 광개토연구소 대표는 “원천특허만 활용한다면 문제가 없지만 원천특허만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며 “원천특허를 활용해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 후속특허를 침해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침해 소송에서 자유롭기 위해서는 제품 개발에 앞서 철저한 특허분석이 뒷받침돼야 한다. 특허분석은 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기술?서비스?제품이 타사의 출원?등록 특허를 침해했는지를 사전에 확인하는 절차다. 제대로 특허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수천만원에 달하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지만 이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향후 수입이 발생해도 소송전에서 패하면 그대로 보상해야 한다.

3D프린팅업계 대부분이 신생 또는 중소?중견기업으로 해외 특허 동향 접근이 쉽지 않은 만큼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특허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개 특허권자는 소송에 앞서 주요국에 출원한다”며 “이런 핵심 특허 출원 동향을 파악해 업계에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된다면 업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배기자 | j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