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s forecast that Korean batteries will account for half the global energy storage system (ESS)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market this year. Following the battery for electric vehicles, Korean products are leading the global mid-to-large secondary battery market, including ESS and UPS.

A Japanese battery market, B3, forecast in a report that LG Chem and Samsung SDI’s share of the ESS and UPS battery market will be 22% and 20% respectively this year. This year the size of the ESS and UPS battery market (based on capacity) is 690㎿h enough to be used by 230,000 households (4 persons in each household) at the same time for one day. Compared to 2010 (28㎿h), the size increased 25 times in just 4 years.

According to the B3 report, this year 290㎿h out of 690㎿h will be filled by Korea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It will be worth KRW420 billion. As a result, the sales of LG Chem and Samsung SDI are expected to reach about KRW200 billion in the ESS and UPS segment alone. It is said that Korea is widening the gap from not only Japan, the birthplace of secondary batteries, but also China.

With the use of the ESS spreading to various areas, such as power demand management, renewable energy interworking and power frequency regulation (FR), Korean batteries are said to be stable and technically complete, and have production capac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Korean batteries are leading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segment, which is classified as mid-to-large batteries including the ESS and UPS. According to a number of market research firms, LG Chem is competing with Japan’s Panasonic for the top position in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market, and Samsung SDI is No. 3 in terms of market share. Korean companies are expected to monopolize the mid-to-large battery market following the small battery market.

“Thanks to the global No. 1 competitiveness in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segment, orders are continuously received for Korean batteries in the ESS segment as well,” said an informant from a large battery maker. “We will maintain our leadership position by continuously investing in R&D, e.g. developing high-stability long-life batteries optimized for the ESS.”

Park Tae-joon | gaius@etnews.com

세계 ESS용 배터리 절반이 한국산

올해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무정전전원장치(UPS) 시장에서 국산 배터리가 절반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에 이어 ESS?UPS 등 중대형 이차전지 시장까지 국산 제품이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셈이다.

일본 배터리 시장조사업체 B3는 보고서에서 LG화학과 삼성SDI의 올해 ESS?UPS용 배터리 시장점유율을 각각 22%, 20%로 전망했다. 올해 ESS?UPS용 배터리 시장 규모(용량 기준)는 690㎿h로 23만가구(4인 기준)가 하루 동안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2010년(28㎿h)과 비교하면 4년 만에 25배가량 성장했다.

B3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90㎿h 중 290㎿h가 국산 리튬이온 이차전지로 채워질 전망이다. 금액 기준으로 4200억원 규모다. 이에 LG화학과 삼성SDI의 매출도 ESS?UPS 분야에서만 약 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관측된다. 이차전지 종주국 일본은 물론이고 중국산 배터리와 격차도 더욱 벌어졌다는 분석이다.

ESS 활용이 전력 수요관리뿐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연동, 전력 주파수조정(FR)용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는 가운데 국산 배터리의 안정적인 기술완성도와 생산능력, 가격경쟁력까지 갖췄다는 평가다.

국산 배터리가 ESS?UPS를 포함해 중대형 이차전지로 분류되는 전기차용 배터리 분야에도 선두권을 유지하고 있다. 다수의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LG화학이 일본 파나소닉과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1?2위를 다투고 있으며 삼성SDI 역시 점유율 3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소형전지에 이어 중대형 전지시장까지 국내 기업의 독주가 예상된다.

배터리 대기업의 한 관계자는 “전기차용 배터리 분야 세계 1위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ESS 분야에서도 국산 배터리 수주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며 “ESS용에 최적화된 고안전성, 장수명 배터리 개발 등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선두권 자리를 지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