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uto maker A completed development of the autonomous vehicle, but is worried that it cannot commercialize it yet. The reason is that it cannot conduct the most important road test. The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of Korea prohibits the road testing of autonomous vehicles.

#2. Mr. B was riding in an autonomous vehicle. He ran into the guard rail trying to avoid an animal that suddenly appeared on the road and died on the spot. “If the car had been driven by a person, it would not have avoided the animal,” said the family of Mr. B asking for compensation. But the manufacturer refused to compensate saying, “The autonomous driving function worked normally.”

The autonomous vehicle is compared to the ‘golden goose,’ and in the limelight as the future of the automotive industry, but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necessary for its introduction is non-existent.

To prevent the aforementioned cases of Company A and Mr. B, the institutions related to automobiles and road traffic, which were made in the age of ordinary automobiles, must be changed urgently to cope with the age of autonomous vehicles.

It appears that autonomous vehicles are not introduced to Korea, all right, but it does not even have the development and testing environment.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driving test on general roads. The ‘temporary driving permit’ provision of Article 27 of the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permits the driving of vehicles for research purposes on roads. However, this provision applies only to general vehicles. Annex 6-2 of the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stipulates that ‘autonomous vehicles cannot be installed,’ and prohibited the driving of autonomous vehicles on roads. For this reason, HMC, which is developing an autonomous vehicle, is known to have difficulty commercializing it.

Unlike Korea, in the US, an increasing number of states have already allowed the driving of autonomous vehicles on roads a few years ago. Four states, including Nevada, Florida and California, already completed additional legislation, and 13 states are conducting reviews. The UK decided to begin to prepare the institution for allowing autonomous vehicles to be driven on roads this year, and Japan is making a similar move.

Experts pointed out that various institutional support is required prior to not only development, but also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As illustrated by the case of Mr. B, there is highly likely to be a dispute about responsibility when an accident occurs. So it must be clearly stipulated in advance. The grounds for introduction of autonomous vehicles, such as special license, must b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utonomous vehicles, e.g. using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o exchange vast amounts of information, it is important to lay down the foundation for hacking prevention and privacy protection.

“There is a good chance for Korea to take the leadership in autonomous vehicles, the representative automotive IT convergence industry, but it’s a pity that Korea cannot make any progress due to regulation,” said industry experts. “As competitors like the US and Japan are preparing the institutions and systems related to autonomous vehicles, we must do so in a hurry.”

Kim Yong-joo | kyj@etnews.com

자율주행차, 규제 탓에 시험 주행도 못해

#1. A 자동차 업체는 자율주행자동차 개발을 마쳐놓고도 상용화를 하지 못해 속을 태우고 있다. 가장 중요한 실도로 테스트를 할 수 없어서다. 우리나라 자동차관리법은 자율주행자동차의 도로 주행을 금지하고 있다.

#2. 자율주행차에 타고 있던 B씨는 갑자기 나타난 동물을 피하려다 차가 가드레일을 들이받는 바람에 현장에서 사망했다. B씨 유족은 “사람이 운전했다면 동물을 피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보상을 요구했지만 자동차 제작사 측은 “자율주행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했다”면서 보상을 거부했다.

자율주행자동차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에 비유되며 차세대 자동차 산업의 총아로 각광받고 있지만 정작 이를 도입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에서 예로 든 A사와 B씨 같은 사례를 사전에 방지하려면 일반 자동차 시대에 만들어진 자동차 및 도로교통 관련 제도를 자율주행차 시대에 맞게 바꾸는 작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국내에서는 자율주행차 도입은커녕 개발 및 테스트 환경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것으로 평가됐다.

대표적인 것이 일반도로 주행 테스트다. 자동차관리법 27조의 ‘임시운행허가’ 제도에서는 연구 목적 차량의 도로 주행을 허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일반 차량에만 적용되는 규정이다. 자동차관리법 별표 6-2에서는 ‘자율조향장치(자율주행차를 의미)는 설치할 수 없다’면서 자율주행차의 도로 주행을 금지했다. 이 때문에 자율주행차를 개발 중인 현대차도 상용화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와 달리 미국에서는 이미 수년 전부터 자율주행차의 도로주행을 허가하는 주가 늘고 있다. 네바다와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등 이미 4개 주가 법제화를 완료했고 13개 주는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영국은 올해 자율주행차 도로주행을 위한 제도 마련에 착수하기로 했고 일본도 관련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자율주행차 개발을 넘어 상용화에는 다양한 제도적 뒷받침이 선행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B씨 사례에서 보듯 자율주행차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를 두고 논쟁이 벌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분명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특수면허 등 자율주행차 도입 근거도 마련돼야 한다. 외부와의 통신을 이용해 방대한 정보를 주고받는 자율주행차 특성상 해킹 방지 및 개인정보 보호 기반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업계 전문가는 “대표적 자동차 IT 융합 산업인 자율주행차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선두권으로 치고나갈 수 있는 좋은 기회인데도 규제 탓에 제자리에 머무는 것 같아 안타깝다”면서 “미국, 일본 등 경쟁국이 자율주행차 관련 제도를 마련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서둘러 제도 도입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주기자 | ky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