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Phone 6 fever is unusually high. Although the market has frozen up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Distribution Structure Improvement Act (Terminal Act), it is showing off an exceptional presence.

The user base, which is formed around a small number of Apple enthusiasts, is showing signs of expansion in line with the iPhone 6 launch. Apple, which has been losing its market share each year since it landed in Korea by bringing the smartphone shock in November 2009, is forecast to stir up a sensation with the release of iPhone 6.

◇ LG U+’s market entry results in competition intensifying

The first factor contributing to this phenomenon is the participation in market competition by the third-ranking mobile carrier. LG U+, which had not had any relationship with Apple, set the market on fire by releasing iPhone 6 service. LG U+ made an aggressive movement to announce the iPhone forwarding price as the first of the three mobile carriers. It has set out a plan to sell iPhone 6 (based on 16G) at around KRW 700,000. This is lower than the previous estimation of KRW 800,000. The price of an iPhone 6 (16G) unlocked phone disclosed by Apple Korea is KRW 850,000. LG U+ took a step further with ‘Zero Club,’ a service to provide compensation for secondhand phones in advance. When SK Telecom or KT iPhone 5 users move to LG U+, they are given KRW 200,000 under the condition of returning their devices and KRW 100,000 as a terminal subsidy. An additional KRW 200,000 is provided if the users agree to return iPhone 6 terminal after 18 months. Using Zero Club service, one can purchase iPhone 6 at around KRW 100,000.

Such an aggressive movement has led to users’ interest. The company is producing a satisfactory performance in the subscription sales that began on the 24th. In just 20 minutes after subscription sales of iPhone 6 began, around 20,000 customers swarmed into LG U+.

By suggesting an unprecedented price, LG U+, which announced the forwarding price first, placed a burden on SK Telecom and KT that have not disclosed their forwarding prices. These companies are forecast to set their forwarding prices at a similar level to LG U+. A KT source said, “We will set the forwarding price of iPhone at around KRW 700,000 and announce it soon.” In addition, a rate system to protect the existing iPhone users is necessary.

“As we are servicing an iPhone model for the first time, we are making efforts to create a new customer base,” said an LG U+ source. “As we are making the first move, our competitors are bound not to stay still.”

◇ Benefited from Terminal Act, “Would go for iPhone if to pay the full price”

A considerable cut in smartphone subsidy caused by the enforcement of the Terminal Act is another factor leading to the popularity of iPhone 6. As the gap in purchasing prices widened as a result of the different subsidies although the forwarding prices are similar, a large number of consumers had opted for domestic manufacturers’ premium phones. While Apple did not provide manufacturer incentives, companies in Korea have been securing users by lowering the purchasing prices using incentives. However, the situation turned as subsidies became the same according to the Terminal Act implementation. With a price gap between Apple and domestic companies’ premium smartphones disappearing, consumers’ perception is changing rapidly to buy iPhone if they are to pay the full price.

At the background to this perception is a standpoint to regard iPhone as a premium phone rather than simply as an expensive phone. As consumers started complaining to domestic manufacturers about their increased cost burden resulted by the Terminal Act implementation, consumer transition to foreign brands is also being witnessed. In fact, there are often postings about not to buy products from domestic companies that regard customers as a pushover in small phone-related online communities.

Another reason for this phenomenon is a rapid increase of the popularity of pre-owned phones. Unlike domestic phones of which the prices plummet in less than one year since release, in the second-hand market, iPhone’s price does not fall considerably. In the second-hand market, the price of an iPhone is expensive by as many as twice than those of premium phones from domestic manufacturers, such as LG Electronics and Samsung Electronics.

The asking price of a secondhand iPhone 5S (16G), which was released in October last year, is around KRW 600,000. The demand to use an iPhone for some time, sell it off at a proper price and then to buy a new terminal is headed to iPhone 6.

◇5.5” large screen

iPhone Plus, which satisfies domestic users’ preference for larger screens, is a new variable. This is the first large-screen (5.5”) smartphone Apple has released by abandoning the philosophy of the company’s founder Steve Jobs who had insisted on ‘Smartphones that can be controlled with one hand’ during his lifetime. Although some analyze that this may not bring a significant profit to Apple as it overlaps with Apple’s tablet PC ‘iPad,’ the demand for tablet PC is not large in Korea. Quite a number of consumers in Korea have been turning away from iPhone because they do not like the small-sized screens (around 4”). iPhone 6 Plus is forecast to absorb a portion of Korea’s large-screen smartphone market, which is represented by Galaxy Note series.

“Users’ interest in the large-screen iPhone 6 Plus is quite high,” said a communications industry insider. He forecast, “iPhone 6 Plus will attract a considerable number of users.”

Jeong Jin-wook | jjwinwin@etnews.com

[이슈분석] 한국서 아이폰6 열풍 심상치 않다

<오는 31일 정식 출시되는 애플 아이폰6(왼쪽)와 아이폰6 플러스.<사진:애플코리아 홈페이지>>

아이폰6 열풍이 심상치 않다. 이동통신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이하 단통법) 시행으로 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서도 남다른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소수 애플 마니아를 중심으로 형성된 사용자층이 아이폰6 출시 바람을 타고 다수로 확산될 기세다. 지난 2009년 11월 국내에 스마트폰 쇼크를 안기며 상륙한 이후 매년 시장점유율을 잃어가던 애플이 아이폰6 출시를 계기로 돌풍을 예고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참여로 경쟁 ‘후끈’

가장 먼저 3위 이동통신 사업자의 경쟁 참여를 꼽을 수 있다. 그동안 애플과 인연이 없었던 LG유플러스가 아이폰6를 출시하며 시장에 불을 질렀다. LG유플러스는 이통 3사 가운데 가장 먼저 아이폰 출고가를 공개하는 공격적 행보를 보였다. 아이폰6(16G 기준)를 70만원대에 판매할 예정이다. 당초 예상한 80만대를 밑도는 수준으로, 애플코리아가 공개한 아이폰6(16G) 언락폰 가격은 85만원이다. LG유플러스는 중고폰 선 보상 서비스 ‘제로클럽’으로 한 발 더 나갔다. SK텔레콤이나 KT 아이폰5 사용자가 LG유플러스로 옮길 경우 기존 기기 반납을 조건으로 20만원, 단말기 지원금 1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여기에 18개월이 지난 뒤 아이폰6를 반납하는 조건을 더하면 추가로 20만원을 할인 받는다. 제로클럽을 이용하면 10만원 내외 비용으로 아이폰6를 구입할 수 있는 셈이다.

이같은 공격적 행보는 사용자 관심으로 이어졌다. 지난 24일 시작된 예약판매에서 선전하고 있다. 아이폰6 예약판매 개시 20분 만에 2만명의 예약자가 LG유플러스에 몰렸다.

가장 먼저 출고가를 밝힌 LG유플러스가 파격적인 가격을 제시하면서 아직 출고가를 공개하지 않은 SK텔레콤과 KT가 부담을 안게 됐다. 양사 역시 LG유플러스와 비슷한 수준으로 출고가를 책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KT관계자는 “아이폰6 출고가를 70만원선으로 책정해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아이폰 사용자를 지키기 위한 요금제 마련도 필요한 상황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처음으로 아이폰을 선보이는 만큼 새로운 고객층을 흡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LG유플러스가 먼저 치고 나간 만큼 경쟁사 역시 가만히 있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단통법 수혜 “제 값 주고 살 거면 아이폰”

단통법 시행으로 보조금이 크게 줄어든 것도 아이폰6 인기 요인이다. 그동안 출고가는 비슷하지만 보조금 차이로 구매가가 크게 벌어지면서 아이폰이 아닌 국내 제조사 프리미엄폰을 선택하는 소비자가 많았다. 애플이 제조사 장려금을 실지 않는 반면 국내 제조사는 장려금으로 구매가를 낮추며 사용자를 확보해 왔다. 단통법 시행으로 보조금이 동등해지면서 상황이 변했다. 국내 제조사 프리미엄폰과 가격 차이가 사라지면서 ‘제 값 주고 살 거면 아이폰’이란 인식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

이런 인식의 배경에는 아이폰을 단순 ‘고가폰’이 아닌 ‘명품폰’으로 보는 시선이 있다. 단통법으로 비용 부담이 커진 일부 소비자 불만이 국내 제조사로 향하면서 외국 브랜드를 찾는 움직임도 목격된다. 실제 스마트폰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소비자를 호갱으로 만드는 국내 제조사 제품은 사지 않겠다’는 글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단통법 상황에서 중고폰 인기가 급증하는 것도 한 이유다. 출시 1년도 안 돼 중고시장에서 몸값이 곤두박질치는 국산폰과 달리 아이폰 가격은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아이폰 가격은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제조사 프리미엄폰 대비 많게는 2배 이상 비싸다.

지난해 10월 출시된 아이폰5S(16G) 중고폰 가격은 60만원을 호가한다. 일정 기간 아이폰을 쓴 후 제 값 받고 처분한 후 다시 새 단말기를 사려는 수요가 아이폰6로 향한다.

◇5.5인치 대화면

큰 화면을 좋아하는 국내 사용자 특성과 맞는 아이폰6 플러스도 새로운 변수다. 생전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고집한 창업자 스티브 잡스의 철학을 버리고 애플이 처음으로 선보인 5.5인치 대화면 스마트폰이다. 애플의 태블릿PC ‘아이패드’와 겹쳐 애플 전체로는 크게 이익이 안 될 거라는 분석도 있지만 국내는 태블릿PC 수요가 크지 않다. 그동안 4인치대의 작은 화면이 싫어서 아이폰을 외면한 사용자가 적지 않은 국내 상황이다. 아이폰6 플러스가 갤럭시노트 시리즈로 대표되는 국내 대화면 스마트폰 시장을 일정 부분 흡수할 전망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대화면 아이폰6 플러스에 대한 사용자 관심이 적지 않다”며 “아이폰6 플러스가 상당수 사용자를 끌어들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진욱기자 | jjwinwin@etnews.com

Photo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