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ive software platforms are making a rapid progress. The industry is focusing on providing a development environment where everyone can join in through service type platform (PaaS). It is solidifying a founding stone for global market entry and also to introduce diverse B2B application programs by targeting the cloud-based corporate application (app) market. Unlike existing platform service that had been limited to software, new services are integrated with Internet of things (IoT), and thus provide smart office environment. In the software platform market that has been led by global enterprises, the strategies of domestic platform makers are drawing attention.

◇ Korea’s first open PaaS ‘Biz Play’ starts entry to Asian market

As for business software platform, Webcash’s ‘Biz Play’ is displaying a prominent growth. Biz Play is a platform that provides various apps necessary for a company to carry out customer relations management. Appstore completed development in August and has been conducting a beta test for three months. By an official version release in November, it secured around 1,000 corporate and institutional customers and approximately 3,000 subscribers.

“As of present, 17 apps for business use are being distributed through Biz Play,” said Managing Director Jeon Yeong-il of Webcash’s platform division. “We will strengthen our service by adding on around 50 apps in the future.”

Biz Play is an open type software platform wher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is opened. All software developers and companies can upload software programs they have developed in Biz Play. Then, customers download, install and operate free and pay apps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s. Using a smart phone app, customers can carry out operations through a link with their desktop PCs. Groupware functions, such as web board and electronic approval, can be used for free.

With Biz Play as a key business item, Web Cash is performing service marketing enthusiastically targeting the existing customers. The goal is to provide its platform to around 100,000 customers and institutes by early next year.

Biz Play is drawing attention as it targets not only the domestic, but also overseas markets concurrently. Web Cash plans to increase global subscriber count by making use of a marketing network ‘Cosine’ it established jointly with Korea’s leading software companies in order to target the Southeast Asian market including Cambodia.

Web Cash entered into an investment agreement with a Japan’s leading accounting software maker ‘Miroku Information Service (MJS)’ last month and is also promoting cooperation with the company for Biz Play’s entry to the Japanese market. Web Cash will release a Japanese version of Biz Play completed of localization in Japan during next year.

◇Evolution of software platform, HANDYPIA building smart environment using IoT

On the 3rd,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completed a smart office environment deployment project. The provincial government staff can print out documents saved in cloud server after user authentication with their fingerprints or ID cards anytime, anywhere using ‘Cloud Printing’ system developed by HANDYSOFT.

The convergence between software platforms and IoT technology is in progress. Earlier this year, HANDYSOFT released a new-concept software platform ‘HANDYPIA’ to combine ontology-based semantic IoT technology with service type software (SaaS), and thus is extensively targeting the domestic public market. HANDYSOFT has embarked on strengthening its business competitiveness, such as to build a smart office environment by integrating IoT with business apps required by companies and institutes. Using a mobile IoT middleware technology ‘Mori’ from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TRI), HANDYSOFT can develop apps for business use to combine smart phone and office functions. “It is necessary to build various IoT platforms to combine apps for business use, such as groupware for which HANDYSOFT has strength,” said HANDYSOFT CEO Lee Sang-san. “We will create customized business environments by cooperating with other software makers in the form of a consortium.”

HANDYSOFT is also strengthening the openness of HANDYPIA. As open API and open source code is provided for developers, anyone can develop services conveniently. The company’s plan is to encourage a greater number of people to develop IoT service using its platforms, and thus to build an open IoT ecosystem for stable service.

Examples include fish tank water temperature management, inter-floor noise control and gas detection and monitoring services developed with participation by students from Gachon University. HANDYSOFT has also released indoor environment monitoring service using a smart set top box and a standard web technology-based solution for cooperation.

◇ Open source based software platform development in progress, ‘Open Cloud Engine (OCE)’

When it comes to software platform, it is important to build a shared platform ecosystem where a variety of developers and software companies participate. Platform ecosystem can grow only when platform using customers can choose from various apps according to their needs. This is the reason software platforms using open source software are drawing attention.

In Korea, OCE Consortium is promoting joint development of an open software platform ‘Open Cloud engine.’ The consortium members include domestic software companies, such as uEngine Solutions, Cubrid, ENKISOFT, MHR, Websquared and Copens.

OCE will develop business process management (BPM) solution, database management solution (DMBS) and search engine big data analysis solution and distribute them for free. This is an open PaaS where products developed by consortium members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platform. “Last year, open source companies gathered up and formed a consensus on increasing values. Then, we formed a team and started promoting OCE development,” said an OCE consortium insider. “We will produce significant implementation outcomes in the near future.”

Kwon Dong-joon | djkwon@etnews.com

[이슈 분석]약진하는 국산 SW 플랫폼 ‘해외 시장 노린다’

토종 소프트웨어(SW) 플랫폼이 약진하고 있다. 서비스형플랫폼(PaaS)을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클라우드 기반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앱) 시장 공략으로 다양한 B2B용 응용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초석을 다지는 중이다. SW에만 국한됐던 기존 플랫폼 서비스와 달리 스마트 오피스 등 사물인터넷(IoT)과 결합한 서비스도 나왔다. 글로벌 기업이 주도했던 SW 플랫폼 시장에서 국산 플랫폼 사업자들의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 1호 개방형 PaaS ‘비즈플레이’ 아시아 시장 공략 시작

국내 비즈니스용 SW 플랫폼은 웹케시의 ‘비즈플레이’가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비즈플레이는 기업이 고객관계 관리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앱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앱스토어는 지난 8월 개발을 마치고 3개월 동안 베타 운영을 실시했다. 지난 11일 정식 버전을 내놓을 때까지 1000여개 기업?기관 고객과 3000여명의 가입자를 확보했다.

전영일 웹케시 플랫폼부문 상무는 “현재까지 17개 기업용 앱이 비즈플레이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며 “향후 50여개 추가 앱을 올려 서비스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비즈플레이는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API)가 공개된 개방형 SW 플랫폼이다. SW 개발자와 기업이라면 누구나 비즈플레이를 통해 자신이 개발한 SW를 올릴 수 있다. 고객은 유?무료 앱을 자사 환경에 맞춰 내려받아 설치?운영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을 통해 데스크톱PC와 연계된 업무가 가능하다. 게시판, 전자결재 등 그룹웨어 기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웹케시는 비즈플레이를 주요 사업군으로 삼고 기존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 마케팅에 한창이다. 내년 초까지 고객 기업과 기관 등 10만여곳에 플랫폼 제공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국내 시장뿐 아니라 해외 시장도 동시에 공략한다는 점은 비즈플레이가 주목받는 이유다. 웹케시가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시장 공략을 위해 국내 유수 SW 기업과 공동 설립한 ‘코사인’ 영업 네트워크를 활용해 글로벌 가입자 수를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달에는 일본 대표 회계 SW기업 ‘미로쿠정보서비스(MJS)’와 투자 유치 계약을 맺으며 비즈플레이 일본 시장 진출 협력도 함께 진행 중이다. 내년 중 일본 현지화 작업을 마친 비즈플레이 일본 버전도 선보인다.

◇SW 플랫폼의 진화, IoT 활용한 스마트 환경 구축하는 ‘핸디피아’

지난 3일 경기도청은 스마트 오피스 환경 구축 사업을 완료했다. 도청 직원들은 핸디소프트가 만든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지문이나 공무원증으로 본인 인증 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문서를 인쇄할 수 있다.

SW 플랫폼이 IoT 기술과 융합되고 있다. 핸디소프트는 올해 초 온톨로지 기반 시맨틱 IoT 기술과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를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SW 플랫폼 ‘핸디피아’를 선보이고 국내 공공시장을 집중 공략하고 있다. 기업과 기관이 필요한 업무용 앱을 IoT와 결합해 스마트 오피스를 구축하는 등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이전 받은 모바일 IoT 미들웨어 기술 ‘모리’를 활용해 스마트폰과 사무실이 결합한 기업용 앱 개발이 가능하다. 이상산 핸디소프트 대표는 “핸디소프트의 강점이 그룹웨어 등 기업용 앱과 결합한 다양한 IoT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며 “컨소시엄 형태로 다른 SW 기업과 협력해 고객 맞춤형 비즈니스 환경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핸디소프트는 ‘핸디피아’ 개방성도 강화하고 있다. 개발자를 위한 오픈 API와 오픈소스 코드를 제공해 누구라도 쉽게 서비스 개발을 가능하게 했다. 더 많은 사람들이 핸디소프트의 플랫폼을 이용해 IoT 서비스를 개발하고 안정적으로 서비스하는 열린 IoT 생태계를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가천대 학생들이 참여해 개발한 어항 수온 관리 및 층간 소음, 가스 감지 모니터링 서비스 등이 대표 사례다. 스마트 셋톱박스를 활용한 실내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와 표준 웹기술 기반의 협업 솔루션도 공개됐다.

◇오픈소스 기반 SW 플랫폼 개발도 한창 ‘오픈클라우드엔진(OCE)’

SW 플랫폼은 다양한 개발자와 SW 기업들이 참여해 공유형 플랫폼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플랫폼 이용 고객이 자신에게 필요한 다양한 앱을 골라 쓸 수 있어야 플랫폼 생태계가 성장할 수 있다. 공개SW(오픈소스)를 활용한 SW 플랫폼이 주목받는 이유다.

국내에서는 ‘OCE 컨소시엄’이 나서 개방형 SW 플랫폼 ‘오픈클라우드엔진’ 공동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유엔진솔루션즈, 큐브리드, 클라우다인, 엔키소프트, 엠에이치알, 웹스퀘어드, 코펜스 등 국내 SW 기업이 참여했다.

OCE는 업무프로세스관리(BPM)?데이터베이스관리솔루션(DBMS)?검색엔진?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등을 개발해 무료로 제공한다. 컨소시엄 참가 기업에서 개발한 제품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한 오픈 PaaS다. OCE 컨소시엄 관계자는 “지난해 오픈소스 기업들이 모여 가치를 더하자는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팀을 구성해 OCE 개발을 추진했다”며 “조만간 유의미한 구축사례가 잇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권동준기자 | djkwon@etnews.com

Photo Image